반응형
정규화의 개요
- 함수적 종속성 등의 종속성 이론을 이용하여 잘못 설계된 관계형 스키마를 더 작은 속성의 세트로 쪼개어 바람직한 스키마로 만들어가는 과정이다.
- 정규형에는 제1정규형, 제2정규형, 제3정규형, BCNF형, 제4정규형, 제5정규형이 있으며, 차수가 높아질수록 만족시켜야 할 제약 조건이 늘어난다.
- 정규화는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 설계 단계에서 수행한다.
- 정규화는 논리적 처리 및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친다.
정규화의 목적
- 데이터 구조의 안정성을 최대화한다.
- 어떠한 릴레이션이라도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표현 가능하게 만든다.
- 효과적인 검색 알고리즘을 생성할 수 있다.
- 중복을 배제하여 삽입, 삭제, 갱신 이상의 발생을 방지한다.
- 데이터 삽입 시 릴레이션을 재구성할 필요성을 줄인다.
반응형
'CS > 데이터베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병행 제어(Concurrency Control) (0) | 2020.11.20 |
---|---|
트랜잭션 (0) | 2020.11.20 |
시스템 카탈로그 (0) | 2020.11.20 |
뷰(View) (0) | 2020.11.20 |
내장 SQL(Embedded SQL) (0) | 2020.1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