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git

(5)
[git] stash 작업 도중에 브랜치를 변경해야 할 때 현재 로컬 저장소에서 작업 중인 파일을 임시 저장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명령어이다. 아직 완료되지 않은 작업을 commit 할 수는 없기 때문에 이런 경우에 사용하면 난처한 상황을 해결할 수 있다. stash에 저장해 둔 후 브랜치를 바꿔 작업을 수행한 후 다시 원래 브랜치로 돌아와 stash에서 작업 파일을 다시 원상복구할 수 있다. 저장방법 git stash 또는 git stash save현재 작업 중이던 모든 정보가 stash 리스트에 저장된다. stash 확인 git stash liststash는 여러번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인덱스 형태로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고 과거 stash 이력 또한 다시 사용할 수 있다. stash 적용 가장 최근의 stash 적용 g..
Git pull 시 fatal:refusing to merge unrelated histories를 만났을 때 일단 나의 경우는 원격저장소를 만들어놓고 readme.md 파일을 기본 생성 해 둔 후 따로 작업해둔 폴더에 git remote add를 통해 원격저장소를 추가하는 방식으로 진행을 했었다. 원격저장소를 추가한 후 git add, git commit, git push를 진행하게 되면 다음과 같은 에러를 만나게 된다. error: failed to push some refs to 'https://github.com/JeongJunHo/springboot-scheduled-demo.git' hint: Updates were rejected because the tip of your current branch is behind hint: its remote counterpart. Integrate..
git 대용량 파일 push error 해결 방법 github는 기본적으로 파일사이즈가 50MB를 넘지 않도록 권장합니다. (warning 로그를 남김) 또한 100MB가 넘어가는 파일이 있을 경우에는 error가 나면서 작업이 수행되지 않습니다. 부득이 하게 저장소에 용량이 큰 파일이 들어가야할 경우에는 Git Large File Storage를 사용하시면 되겠습니다. https://git-lfs.github.com/ Git Large File Storage를 각자의 os에 맞게 설치합니다. 그리고 local repository에서 다음과 같이 명령어를 수행합니다. git lfs install git lfs track "대용량파일명" 또는 와일드 카드 사용 가능 git lfs track "*.zip" 해당 작업을 수행하고 나면 local reposit..
Git 원격 저장소 관리 원격 저장소 확인하기 git remote 원격 저장소 추가하기 git remote add 원격 저장소 삭제하기 git remote remove 원격 저장소 이름 변경하기 git remote rename
git 저장소가 너무 클 경우 Clone 방법 git 저장소를 clone해 올 때 저장소 크기가 너무 크다면 다음과 같은 에러를 만날 수 있다. error: RPC failed; curl 18 transfer closed with outstanding read data remaining fatal: the remote end hung up unexpectedly fatal: early EOF fatal: index-pack failed 이럴 경우 해결 방법은 clone을 사용할 때 --depth 1 옵션을 추가해 clone 한 후에 fetch를 진행하면 해결할 수 있다. git clone [저장소url] --depth 1 cd [저장소폴더명] git fetch --unshallow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