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45) 썸네일형 리스트형 정규화(Normalization) 정규화의 개요 함수적 종속성 등의 종속성 이론을 이용하여 잘못 설계된 관계형 스키마를 더 작은 속성의 세트로 쪼개어 바람직한 스키마로 만들어가는 과정이다. 정규형에는 제1정규형, 제2정규형, 제3정규형, BCNF형, 제4정규형, 제5정규형이 있으며, 차수가 높아질수록 만족시켜야 할 제약 조건이 늘어난다. 정규화는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 설계 단계에서 수행한다. 정규화는 논리적 처리 및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친다. 정규화의 목적 데이터 구조의 안정성을 최대화한다. 어떠한 릴레이션이라도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표현 가능하게 만든다. 효과적인 검색 알고리즘을 생성할 수 있다. 중복을 배제하여 삽입, 삭제, 갱신 이상의 발생을 방지한다. 데이터 삽입 시 릴레이션을 재구성할 필요성을 줄인다. 병렬 처리 - CountDownLatch 쓰레드를 사용해서 동시에 여러가지 작업을 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쓰레드는 비동기 처리이기 때문에 메인 쓰레드와 같이 작업이 진행되고 매번 처리되는 순서도 달라진다. 실행시킨 쓰레드가 모두 처리되었을 때 다시 메인 쓰레드의 동작이 실행되도록 하는 방법은 없을까 찾아보던 중 CountDownLatch 클래스를 활용하면 위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걸 알게 되어 정리하는 글을 작성하게 되었다. CountDownLatch는 선언 시 매개변수를 하나 받는데 해당 매개변수는 정수이다. 핵심은 countDown() 메소드와 await() 메소드인데 각각의 쓰레드에서 countDown() 메소드를 호출하면 처음 선언할 때 받은 변수의 값이 하나씩 떨어진다. await()를 사용 시 프로그램은 CountDownLa.. SWEA 5650. [모의 SW 역량테스트] 핀볼 게임 문제 풀이 안녕하세요. 오래만에 글을 씁니다. 코딩 테스트 준비 겸 다시금 삼성 모의 역량 테스트를 풀어봤습니다. 새로운 문제가 추가되어서 풀어보고 글을 남깁니다. 문제URL https://swexpertacademy.com/main/code/problem/problemDetail.do?contestProbId=AWXRF8s6ezEDFAUo&categoryId=AWXRF8s6ezEDFAUo&categoryType=CODE 전체 소스입니다.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ArrayList; import java.util.List; import java... 선점 스케줄링 종류 SRT(Shortest Remaining Time) 비선점 기법인 SJF 알고리즘을 선점 형태로 변형한 기법으로 실행중인 프로세스의 남은 시간과 준비상태 큐에 새로 온 프로세스의 실행시간을 비교하여 짧은 실행 기간을 요구하는 프로세스에게 CPU를 할당하는 기법 RR(Round Robin) 시분할 시스템을 위해 고안된 방식으로 FCFS 알고리즘을 선점 형태로 변형한 기법으로 준비상태 큐에 먼저 들어온 프로세스가 먼저 CPU를 할당받지만 각 프로세스는 할당된 시간 동안만 실행 후 실행이 완료되지 않으면 다음 프로세스에게 CPU를 넘겨주고 준비상태 큐의 가장 뒤로 배치되는 기법 다단계 큐(Multi level Queue) 프로세스를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을 경우 그룹에 따라 각기 다른 준비상태 큐를 사용하는 .. 비선점 스케줄링 종류 FCFS(First Come First Service) 준비상태 큐에 도착한 순서에 따라 차례로 CPU를 할당하는 기법 SJF(Shortest Job First) 실행시간이 가장 짧은 프로세스에 먼저 CPU를 할당하는 기법 HRN(Hightest Response-ratio Next) 실행 시간이 긴 프로세스에 불리한 SJF 기법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대기 시간과 서비스 시간을 이용하는 기법 ※ 우선순위 측정 = (대기 시간+서비스 시간) / 서비스 시간 운영체제의 성능 평가 기준 처리능력(Throughput) 일정 시간내에 시스템이 처리하는 일의 양 반환시간(Turn Around Time) 작업 의뢰한 시간부터 처리 완료까지 걸리는 시간 사용 가능도(Availability) 시스템을 사용할 필요가 있을 때 즉시 사용 가능한 정도 신뢰도(Reliability) 시스템이 주어진 문제를 정확하게 해결하는 정도 레디스 설정 확인 및 캐시 삭제 정책 레디스 설정 확인 config get * config get [패턴] memory-policy 설정 참고 · noeviction : 메모리 제한에 도달한 상태에서 클라이언트가 더 많은 메모리를 사용하는 명령을 실행하려고 할 때 오류를 리턴한다. (대부분 쓰기 명령 및 DEL 명령시 발생한다.) · allkeys-lru : 가장 최근에 사용하지 않는 키(LRU)를 먼저 퇴거(eviction)하여 새로운 데이터를 위한 공간을 확보한다. · volatile-lru : 가장 최근에 사용되지 않은 키(LRU)를 먼저 퇴거(evict)하려고 시도하지만 만료 세트가 있는 키만 퇴거하여 새로운 데이터 공간을 확보한다. · allkeys-random : 새 세이터를 추가할 공간을 만들기 위해 임의로 키를 퇴거(evict.. spring batch step간 데이터 전달 https://wckhg89.github.io/archivers/springbatch1 이전 1 2 3 4 5 6 다음